본문 바로가기
공부/기계 작동 원리

Mecanum Wheels (메카넘 휠)

by 현구원 2025. 4. 27.
반응형

메카넘 휠은 일반 바퀴처럼 구를 때, 위 사진과 같이 driving force가 45도의 각도를 가진 방향으로 작동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해서 제 자리에서 180도 회전이나 측면 방향의 이동 등이 가능해진다.

 

왼쪽 사진과 같이 바퀴 위에 롤러의 축이 평행하게 붙어 있는 경우에는 롤러에 작은 힘만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오른쪽 사진과 같이 축이 수직인 경우에는 큰 힘을 가할 수 있다.

메카넘 휠은 이 두 가지 경우를 합쳐서 만들어낸 것이다. 즉, 롤러의 축을 45도 틀어지게 붙이는 것이다.

이러한 롤러를 바퀴에 전체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오른쪽 처럼 바퀴의 측면에 projection을 넣어서 만든다.

이런 형태의 메카넘 휠이 굴러가는 경우를 살펴보면 우선 위 사진과 같은 방향으로 friction force가 발생할 것이다.

그런데 이 friction force를 롤러의 축과 수직인 방향과 수평인 방향으로 나누어서 보면 위와 같다.

이 중에서 수직인 방향의 힘은 롤러가 쉽게 구를 수 있기 때문에 그 힘이 매우 작게 된다.

반면에 수평인 방향의 힘은 잘 전달 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위 사진과 같이 friction force (driving force)가 45도의 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제 이러한 메카넘 휠을 차량에 부착한 경우를 보자.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휠은 롤러의 방향이 같고, 인접한 휠의 롤러의 방향은 반대가 되도록 설치한다.

차량이 움직일 때, 위 사진과 같은 롤러의 interference 때문에 덜컹거리면서 움직인다.

이는 롤러의 모양을 위 사진과 같이 곡률을 가지도록 설계하여 해결한다.

이제 차량이 측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보자. 이 때는 위 사진과 같이 대각선에 있는 휠은 같은 방향으로, 인접한 휠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해야한다.

이에 의해서 발생되는 frictional force는 위 사진에 표시된 것처럼 나타나는데, 이 중에 y축 방향의 힘은 모두 상쇄되고, x축 방향의 힘만 남게 된다.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Sideward Motion)

다음으로는 위 사진과 같이 모든 바퀴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보자. 이 경우에 발생하는 frictional force를 합성하면 x축 방향의 힘이 상쇄되고, y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Forward Motion)

그리고 위 사진처럼 대각선에 있는 한 쌍의 바퀴만 회전시키면 대각선으로 이동하게 만든다. (Diagonal Motion)

마지막으로 위 사진처럼 한 쪽의 바퀴는 앞으로, 반대쪽의 바퀴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위 사진에 나타난 것과 같은 frictional force가 발생한다. 이때 모든 x축, y축 방향의 힘이 상쇄되기 때문에 translational한 움직임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Torque는 만들어낼 수 있으므로 차량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만든다. (Circular Motion)


반응형

'공부 > 기계 작동 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sla Turbine (테슬라 터빈)  (0) 2025.04.27
Axial Flux Motors (축방향 자속 모터)  (0) 2025.04.27
Tesla Valve (테슬라 밸브)  (0) 2025.04.27
Airbags (에어백)  (0) 2025.04.27
Seat belt (안전벨트)  (0)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