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기계 작동 원리

Axial Flux Motors (축방향 자속 모터)

by 현구원 2025. 4. 27.
반응형

Axial Flux Motor는 무게 대비 발생 Torque가 크기 때문에, 비행체와 전기 자동차 등에서 사용 될 수 있는 주목 받는 기술이다.

위 사진과 같이 대부분의 산업에서 사용되는 Radial Motor는 모터의 회전 축과 자기력선속 (magnetic flux)가 수직을 이루는 반면, Axial Motor는 평행하다.

 

축방향 자속 모터는 기본적으로 permanent magnet과 electormagnet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동작한다. 여기서 코일은 고정되어 있고, 영구자석은 회전할 수 있다.

코일 A에 전원이 가해졌을 때, 코일 A는 위 사진과 같이 자성을 띄게 된다. 영구 자석의 S극은 코일 A에게 인력이 작용하고, N극은 척력이 작용하게 되면서 그 힘을 합성해보면 위 사진과 같이 tangential하게 되고, 그 힘에 의해서 rotor가 회전한다.

위 사진과 같이 영구자석의 S극과 N극이 된 코일 A가 정렬 된 상황에서는 합력이 0이 된다. 하지만 관성에 의해서 rotor는 코일에 정확하게 정렬 된 상태에서 멈추지 않고 조금 더 움직이게 된다.

그 동안 코일 B에 전원이 가해지고, 같은 과정이 반복 된다. 이후에는 코일 C가 전원이 가해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rotor는 총 반바퀴를 돌게 되는 것이다.

이후에는 코일 A부터 다시 전원이 가해지는데, 이전과는 반대의 극성을 가지도록 전원이 가해진다. 그리고 코일 B, 코일 C에도 해당 과정을 반복하면서 rotor가 계속해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모터를 작동시키면 두 개의 coil은 항상 꺼져있기 때문에 높은 출력을 낼 수 없다.

 
 

이를 보완하는 방법이 위 사진과 같이 한 번에 두 개의 코일에 전원을 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더 높은 torque와 power output을 얻을 수 있다.

어떤 코일에 전원을 가할 지 결정하기 위해서 위 사진과 같은 electornics controller를 사용한다. 여기에 부착된 센서가 rotor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서 컨트롤러가 어떤 코일에 전원을 가할 지 결정한다.

이론적으로는 위 사진과 같이 사각형 형태의 pulse는 일정한 torque를 만들어 낼 수 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순간적으로 phase current를 켜거나 끄게 되면 위 사진처럼 다른 두 개의 phase에서 ripple이 발생하게 되고, 일정한 토크를 만들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가장 좋은 방법은 위 사진처럼 phase current를 위 사진과 같이 점차적으로 늘리거나 줄이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계속해서 일정한 torque를 얻을 수 있다.

Radial Motor와 Axial Flux Motor의 flux path를 비교해보면 위 사진과 같다.

Rotor와 Stator magnetic field 사이의 상호작용이 torque를 발생시키는데, 왼쪽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radial motor에서는 filed loop가 대부분 rotor와 작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오른쪽 사진처럼 axial flux motor의 경우 대부분의 flux line이 토크를 만들기에 필요한 work area에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axial flux motor는 더욱 높은 밀도의 flux를 만들어 내고, 같은 크기에서 더 큰 torque를 만들어 낸다.

또한, axial flux motor에서는 rotor 자석이 회전 축에서 더욱 먼 곳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큰 torque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반응형

'공부 > 기계 작동 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기 터빈 (Steam Turbine)  (0) 2025.04.27
Tesla Turbine (테슬라 터빈)  (0) 2025.04.27
Mecanum Wheels (메카넘 휠)  (0) 2025.04.27
Tesla Valve (테슬라 밸브)  (0) 2025.04.27
Airbags (에어백)  (0)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