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은 아무렇게나 움직이지 않는다. 규칙이 있다."
이 말을 증명하듯, 수십 년간 수많은 투자자들이 사용해온 앨리엇 파동 이론은 시장 흐름의 반복성과 심리를 분석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앨리엇 파동 이론의 개념과 구조, 그리고 각 파동에 따른 매매 전략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I. ✍ 앨리엇 파동 이론이란?
앨리엇 파동 이론은 랄프 넬슨 엘리엇(Ralph Nelson Elliott)이 1930년대에 제시한 이론으로,
시장의 가격은 일정한 패턴과 심리에 따라 반복적으로 움직인다는 가정에서 출발합니다.
🔺 기본 구조:
- 상승장에서는 **5개의 상승 파동(Impulse 파동)**과
그 뒤를 잇는 **3개의 하락 파동(조정 파동)**이 나타납니다. - 하락장에서도 동일하게, 5개의 하락 파동 + 3개의 반등 파동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두 구조는 각각 더 큰 파동의 일부로 포함되며, Impulse 파동이 1파, 조정 파동이 2파로 작용합니다.
즉, 작은 파동 하나하나가 더 큰 파동의 구성요소가 된다는 프랙탈 구조를 가집니다.
II. 🔍 앨리엇 파동의 핵심 규칙
파동 이론에는 지켜야 할 몇 가지 핵심 규칙이 존재합니다. 이 규칙들을 벗어나면 해당 구조는 유효하지 않습니다.
1️⃣ 3파는 가장 짧은 파동이 될 수 없습니다.
대체로 가장 강하고 긴 상승이 일어나는 구간입니다.
2️⃣ 2파는 1파의 시작점을 넘어서 하락할 수 없습니다.
만약 넘는다면 파동 구조가 무효입니다.
3️⃣ 4파는 1파와 겹칠 수 없습니다.
즉, 4파의 저점은 1파의 고점 위에 있어야 합니다.
4️⃣ Impulse 파동(1, 3, 5)과 C파는 시원하게 뻗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대로,
5️⃣ 조정 파동의 A파와 B파는 느리고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입니다.
6️⃣ 윗꼬리나 아랫꼬리가 길게 달릴 경우, 해당 파동의 종료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이 규칙들을 통해 시장의 흐름과 전환점을 예측해볼 수 있습니다.
III. 📈 파동별 특징과 매매 전략
🔹 2번 파동 (조정 파동)
- 일반적으로 1파 상승폭의 38.2% 또는 61.8%를 되돌림
- 조정 구간에서 지속적인 하락 시 손절을 고려
- 살살 빠질 경우엔 반등 이후 탈출 가능성도 있음
💡 전략:
- 1번 파동의 저점 부근이 이탈된다면 4파가 아닌 A파 가능성을 염두
🔹 3번 파동 (강한 상승 파동)
- 거래량이 급증하며 가장 강하고 빠르게 상승하는 구간
- 일반적으로 1파의 1.618배, 강한 경우 2.618~3배까지도 가능
💡 전략:
- 1번 파동의 고점을 강하게 돌파하면서 확인
- 3배 근접 시 매도 고려 (과열 신호)
🔹 4번 파동 (조정 구간)
- 5파를 준비하는 매수 타이밍이 될 수 있음
- 1파와 겹치지 않아야 함 (1파 고점 < 4파 저점)
💡 전략:
- 겹친다면 4파가 아니라 A파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손절
- 적당한 조정 후 반등 시, 5파 진입을 노릴 수 있음
🔹 5번 파동 (마무리 상승)
- 3파보다는 약한 상승
- 거래량은 많을 수 있으나 동력은 약한 경우가 많음
💡 전략:
- 대부분 단기 진입이 적합
- 윗꼬리 발생 시 매도 신호로 간주 가능
🧠 마무리 정리
파동 | 특징 | 매매 전략1 |
2파 | 1파 조정, 0.382~0.618 되돌림 | 이탈 시 손절, 반등 노릴 수 있음 |
3파 | 강한 상승, 가장 길고 강함 | 거래량 증가, 1.618~3배 상승 |
4파 | 5파 준비, 1파와 겹치면 무효 | 겹치지 않으면 매수 고려 |
5파 | 상승 마무리, 약한 동력 | 단타 중심, 윗꼬리 주의 |
📌 앨리엇 파동 이론은 예측 도구가 아닌 해석 도구입니다.
모든 파동이 완벽하게 교과서처럼 움직이지는 않기 때문에, 기술적 분석 + 리스크 관리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투자 > 투자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한국형 사계절 포트폴리오: 변동성 시대에 살아남는 분산 투자 전략 (0) | 2025.05.08 |
---|---|
💼 레이 달리오의 사계절 포트폴리오: 모든 경제 상황을 대비한 완벽한 자산 배분 전략 (0) | 2025.05.06 |
✍ 핵심 재무 지표 정리: ROE, PER, PBR, EV/EBITDA 완벽 이해하기 (0) | 2025.04.29 |
✍ 이동평균선(MA) 완전 정복: 주가 흐름의 핵심 지표 (0) | 2025.04.29 |
🔍 피보나치 되돌림 & 추세 기반 피보나치 확장 완전 정리 (0) | 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