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24년 기계공학과를 졸업 후, 현대자동차에서 설계 직무를 수행 하고 있는 연구원입니다.
오늘은 기계공학과의 전망과 현실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최근 몇 년간 기계공학과에 대한 부정확한 정보들에 기반한 폄하와 조롱 등으로 인해 기계공학과에 대한 선호도가 낮아졌다고 알고 있습니다.
수시 지원에 앞서 전공 선택을 앞두고 있는 고등학생,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있는 전공생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1. 취업에 대하여 (기계공학은 정말 취업 시장에서 망했는가?)
기계공학부를 비선호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취업 시장에서의 유리함을 잃어버렸다는 소문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학부 생활을 하고 있던 당시에 현대자동차에서 내연기관 부서를 없애고, 전기차 전환을 가속화 하겠다는 소식을 접했을 때 저도 비슷한 걱정을 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취업을 준비하면서, 그리고 현대자동차에 들어와서 주변 동기들을 보면 아직 기계공학과는 취업 시장에서 건재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기반이 되는 산업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lg전자 등의 대기업을 필두로 한 제조업입니다.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설계, 설비 개발, 유지, 보수 등에 기계공학은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에 대부분의 기업에 기구 개발 등 지원 가능한 직무가 있습니다.
또한, 현대자동차 및 그 계열사, 협력사의 신입사원 대부분이 기계공학을 전공했습니다. 전동화가 된다고 하지만, 샤시, 바디 등의 설계 직무, 시험 직무 및 생산 관련 직무에서 기계공학은 우대 전공입니다.
취업 준비를 하다 보면 어떠한 한 학과가 우세한 대기업의 존재가 중요하다는 것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생각하고 있는 어떤 기업의 모집 요강 (Job Description)을 찾아보면 기계공학을 우대 전공으로 하고 있는 직무를 하나씩은 무조건 찾으실 수 있을겁니다.
취업이 말처럼 쉬운 것은 아니지만, 기계공학과에서는 졸업을 위해 필수로 수강하는 실험 실습 과목들과 졸업 논문 / 졸업 논문 대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학교별 커리큘럼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만) 4~5개 정도의 프로젝트 결과물이 나오게 됩니다.
해당 프로젝트들에 대해서 주제와 방향성만 꾸준하게 잘 잡으면 추후에 자기소개서에 쓸 때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저도 별도의 학부연구생, 공모전 등을 하나도 하지 않고 실험 실습 프로젝트, 졸업논문 대체 프로젝트 1회, 인턴 경험 1회 만으로 지원했던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현대 모비스에 모두 서류 합격을 했습니다.
참고:
그렇기 때문에 기계공학부의 커리큘럼을 착실하게 따르고, 약간의 노력을 더하면 취업이 세간에 알려진 것만큼 어렵지는 않다는 점을 말하고 싶습니다.
2. 학과 난이도
솔직하게 말해서, 다른 공대 학과들에 비해서 공부의 난이도가 높습니다. 아마도 어려운 공부를 해낸 것에 비해서 취업이 잘 안되니, 타 학과들에 비해 소위 가성비가 안 좋다는 이미지를 갖게 된 것 같습니다.
어려운 과목들이 많이 있고, 물리를 잘하거나 즐기지 않는다면 전공 과목들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고등학교때 물리 과목을 얼마나 즐기고 잘 했느냐가 전공 적합성을 판단하는데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과목들 사이에서 유기적 연계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이전에 수강했던 과목들의 지식을 바탕으로 이해를 해야 하는 개념들이 있기 때문에 앞의 공부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면 더욱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실험 실습이 보고서 작성에서 그치지 않고 프로젝트 수행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바쁠 수 있지만,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해당 프로젝트들만으로도 자기소개서에 채울 내용들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타 학과들에 비해 공모전, 학부 연구생, 코옵 등의 외부 활동을 해야 하는 압박감은 적습니다.
해당 내용들은 제가 학과 생활 및 취업을 해보며 느낀 개인적인 생각이기에, 현실과는 다소 다른 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학생으로서 사회에 첫 발을 내딛을 준비를 하고 있는 고등학생 분들과, 어쩌면 기계공학과의 현실과 전공에 대한 회의에 이 글을 찾은 전공생분들에게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P.S. 추가로 궁금한 점이나 고민이 있에 대해 댓글 남겨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취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공대생 취업 준비 로드맵: 2학년부터 시작하는 전략적 접근 (0) | 2025.05.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