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기계 작동 원리

Four Bar Linkage Application (4절 링크 활용)

by 현구원 2025. 4. 26.
반응형

Four bar linkage는 위 사진처럼 어떤 변을 고정하느냐에 따라서 Crank-Rocker, Double-Crank, Double-Rocker Mechanism을 나타낼 수 있다.

위 사진은 Four bar linkage에서 변의 길이 관계에 따라서 정해지는 motion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다. s + l <= p + q를 만족하는 Grashoff's Chain은 어떤 변이 고정되어 있느냐에 따라서 Crank-Rocker, Double-Crank, Double-Rocker Mechanism을 나타낼 수 있고, Non-Grashaff's Chain은 Double-Rocker Mechanism을 나타낸다.

각각의 Mechanism이 적용되는 방법이나 분야는 위와 같다. 각각의 application에 대해서 더욱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I. Crank-Rocker Mechanism

i) Beam Engine

위와 같이 Crank-Rocker Mechanism은 Beam Engine에서 사용되는데, 이는 crank의 회전 motion을 수직 피스톤에서의 왕복 운동으로 바꾸는데 사용된다.

II. Double-Crank Mechanism

i) Coupled Wheels of a Locomotive

위와 같이 Double-Crank Mechanism이 사용되는 첫번째 예시는 Coupling of Locomotive Wheels이다. 이는 마주보는 link의 길이를 같게 만들어서 실현하는데, 한쪽 crank의 rotary motion을 반대쪽 crank의 rotary motion으로 옮길 때 사용된다. 따라서 기차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ii) Drag Link Quick Return Mechanism

다음으로, Drag-Link Quick Return Mechanism에 사용된다. link 2와 link 4는 다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면 천천히 갔다가 빠르게 되돌아오는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

III. Double-Rocker Mechanism

i) Watt's Indicator Mechanism

Double-Rocker Mechanism을 사용하는 첫 번째 예시는 Watt's Indicator Mechanism이다. 이는 제임스 와츠가 증기 엔진에서 피스톤을 직선으로 움직이기 위해서 고안한 것이다.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link 2 (빨간 link)와 link 4 (초록 link)가 oscillate 하는데, 이에 따라서 파란색 link에 있는 한 지점이 직선을 따라서 위아래로 움직인다.

ii) Pantograph

다음으로는 Pantograph이다.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link 2 (초록색 link)와 link 4 (파란색 link)가 oscillate 한다. 이를 이용하면 그려진 path를 확대, 또는 축소를 하여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다.

iii) Ackermann Steering

마지막으로 Double-Rocker Mechanism은 Ackerman Steering에서 사용된다.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link 2 (초록색 link / link BC)와 link 4 (빨간색 link / link AD)가 oscillate하는데, 이를 이용하면 좌회전이나 우회전을 하기 위한 steering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반응형

'공부 > 기계 작동 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fferential (차동 장치)  (0) 2025.04.26
Gear Types (기어 종류)  (0) 2025.04.26
Four Bar Linkage System (4절 링크)  (0) 2025.04.26
Theory of Vibration (진동학)  (0) 2025.04.26
Gear Design (기어 디자인)  (0)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