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switch문
- if... else if... else 처럼 실행할 영역을 결정하여 실행하는 것.
- swith (n)
{ case 1 :
(실행)
case 2 :
(실행)
case 3 :
(실행)
default :
(실행)
} 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 n에 저장된 값에 따라서 실행할 영역이 결정되어 실행된다.
- 각 실행에 break; 를 포함시키지 않으면 해당 영역 이후 부분에 있는 것들이 모두 실행된다.
- case 다음에는 세미콜론(;)이 아니라 콜론(:)을 써야한다.
- 분기의 경우 수가 많아지면 if... else if... else 문보다 switch 문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switch문으로 표현하기 애매한 상황에서는 if... else if... else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입력 받은 정수의 범위를 출력하는 문제>


실행결과
반응형
'공부 >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윤성우의 열혈 C 프로그래밍 - 도전! 프로그래밍1> (0) | 2025.05.05 |
---|---|
<C언어: 함수의 정의와 선언> (0) | 2025.05.05 |
<C언어: 전역 변수, 사용자 정의 함수> (0) | 2025.05.02 |
<C언어: 반복문, 기본 입출력> (0) | 2025.05.01 |
<C언어: 반복문> (0)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