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투자 기록

[투자 기록] STZ (Constellaton Brands) 매수

by 현구원 2025. 6. 26.
반응형

투자 시점 : 2025년 6월

1. 투자 배경

https://mjun22.tistory.com/entry/%ED%88%AC%EC%9E%90-%EC%A0%84%EB%9E%B5-%EC%8B%9C%EC%9E%A5-%EB%B6%84%EC%84%9D%EC%9D%84-%ED%86%B5%ED%95%9C-%EC%86%90%EC%8B%A4-%EB%8C%80%EB%B9%84-%ED%8F%AC%ED%8A%B8%ED%8F%B4%EB%A6%AC%EC%98%A4-%EA%B5%AC%EC%84%B1

 

[투자 전략] 시장 분석을 통한 손실 대비 포트폴리오 구성

현재 다양한 지표들이 시장이 과열 상태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항목과열 신호침체 신호1. PER (S&P 500 기준)20 이상14 이하2. Shiller CAPE Ratio30 이상20 이하3. VIX (공포지수)12 이하 (너무 낮음)25

mjun22.tistory.com

 

 해당 글에서 언급했듯이, 현재 주식 시장은 전반적으로 과열 국면에 진입해 있다고 판단합니다.

- AI, 반도체, 기술주의 급등은 실적보다 심리와 유동성에 기댄 흐름에 가까워 보입니다.

- 따라서, 실질적 현금 흐름을 창출하고 경기 방어력이 있는 업종에 투자하려고 했습니다.

 


2. 투자 이유

✅ (1) 미국 내 히스패닉 소비자 기반 + 강력한 브랜드 충성도

STZ는 Modelo, Corona 등 멕시코 맥주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브랜드입니다.

미국 내 히스패닉 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소비 특성은 브랜드 충성도가 매우 높습니다.

즉, STZ의 핵심 소비자층은 변하지 않는 고정 수요를 기반으로 하는 구조입니다.

 

✅ (2) 포트폴리오 재편 – 와인 부문 정리로 효율성 증가

최근 적자를 보던 와인 부문을 매각하면서 사업 구조를 단순화 했습니다.

과거 수익성이 낮았던 자산을 정리하고, 핵심 사업인 맥주 부문에 집중하며 장기적으로 ROIC 개선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 (3) 정치적 이슈로 인한 과매도 구간

현재 주가는 대(對)멕시코 관세로 인해서 하락한 상태이며, Forward PER은 12.6 수준으로 매우 낮습니다.

하지만, 트럼프의 정책 추진력이 약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트럼프 발 관세의 여파가 언제까지 갈 수는 없을 것이며, 해당 이슈가 사라지면 STZ의 이익 개선이 가능할 것입니다.

 

✅ (4) STZ 매력도 평가

항목 기준 STZ 현재 상태 평가
1. Moat (지속 경쟁우위) 시장 점유율 상위권, 브랜드 충성도 높음 미국 맥주 시장 1~2위 Modelo/Corona 보유 ✅ 매우 우수
2. 현금 창출력 (FCF) FCF 마진 ≥10%, 연간 FCF 안정적 FCF 마진 14.4%, 2025년 FCF $1.9B gurufocus.comroic.ai+2alphaspread.com+2gurufocus.com+2 ✅ 강함
3. 부채 수준 및 구조 Net Debt/EBITDA <3 및 이자보상 >5 Debt/EBITDA 약 2.9, 이자보상 8.5배 ✅ 양호
4. 자본배분 능력 ROIC >10%, 자사주/배당 비율 적절 ROIC 최근 TTM 17.7% ✅ 탁월
5. 경영진 평가 장기 주주가치 중심, 주주환원 정책 자사주·배당 확대, 관세 대응 적극 ✅ 긍정적
6. 산업 구조 및 장벽 상위기업 집중, 진입장벽 존재 글로벌 브랜드 시장 집중도 높음 ✅ 견고
7. Pricing Power Gross Margin 안정적, 가격 전가력 있음 영업이익률 TTM ~30%, 브랜드 가치 기반 가격 결정력 ✅ 강함
8. 밸류에이션 시장 대비 할인, P/FCF 낮음 P/FCF 15 vs 3~5년 평균 24 ✅ 저평가 상태
9. 실적 예측 가능성 매출·이익 안정적 성장 EPS CAGR ≈10%, 매출 5% 수준 성과 ✅ 안정적
10. 외부 리스크와 대응 규제·정치 리스크 관리 계획 존재 관세 대응 전략 명확 (가격·비용·로비) ✅ 대응력 있음

3. EXIT PLAN

장기 보유 (5년 이상)을 기본 전제로 하나,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부분 또는 전량 매도 가능성을 고려한다.

(1) 히스패닉 소비자층의 브랜드 선호 변화

- 히스패닉 소비자층이 Modelo, Corona에서 Bud Light나 타 브랜드로의 전환이 시작될 경우

 

(2) EPS 개선 이후, 추가 성장 잠재력 상실시

- 현재는 공장 증설, 와인 부문 매각 등으로 인해 영업 이익 개선 가능성이 있음.

- 매출 상승 / 이익 개선으로 인한 주가 상승 후, 추가적인 사업 성장 가능성이 없을 경우 매도

 


4. 마치며

 해당 기업의 미래 사업성을 보며 투자를 진행했다. 주가나 시장에 신경을 쓰는게 아니라, 해당 사업이 잘 진행되는 지를 살펴봐야한다. 주기적으로 발표되는 회사의 실적 발표, 사업 계획 등을 살펴보며 지속적으로 매력적인 사업인지를 확인하자.

 주가는 좋은 사업으로 인한 이익에 따라오는 부가적인 것이다.

반응형